[뉴스토마토] “‘인격적 자본주의’로 기업 불확실성 줄일 수 있다”

 

국회입법조사처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인성’ 토론회…’이사회 강화’ 주장도

“한국 자본주의가 ‘인격적 자본주의’로 나아가면 자본과 민주주의의 아름다운 동행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조영달 서울대 사회교육과 교수는 25일 국회에서 열린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인성’ 토론회에서 “기업은 사회적 책임을 다해 신뢰를 쌓고, 구성원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때 지속가능한 성장의 터전이 다져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조 교수는 기업이라는 공간에 참여하는 경영자, 노동자, 소비자 등 구성원들이 인격을 가진 인간들로 꾸려진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기업의 성립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원들의 존재를 인정하고 소통할 책임은 기업에 있다”며 “기업 공간에서 인격성이 높아지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중요시되고, 신뢰가 쌓여 기업 이미지와 브랜드 가치도 높아진다”고 말했다.

 

조 교수가 정의하는 ‘인격적 자본주의’는 “기업 활동에서 구성원들이 자유를 회복하고, 자본은 자신의 역할을 제대로 찾아가는 과정”이다. 조 교수는 “압축성장의 이면에는 취약한 중소기업과 높은 실업률, 불안한 가정 등 고통이 자리 잡고 있다”며 “자본과 민주주의의 아름다운 동행으로 기업은 불확실성을 줄이고, 한국 자본주의는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했다.

 

조 교수는 이어 “기업 나아가 경제 공간에서 인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기업가 교육이나 인성 교육의 영역을 개발하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면서도 “한국 자본주의의 실상 앞에서는 무력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기업의 책임과 인성을 위해선 대기업 경영 행태가 바뀌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국회입법조사처 김봉주 산업자원팀장은 “아직도 가족 경영을 선호하는 한국 기업들은 인성과 자격을 갖춘 신진 인력이 전문 경영인으로 진출할 수 있는 실질적 권한을 주고 능력을 발휘할 기회를 늘려야 한다”며 “경영진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기업가 정신을 발휘하도록 경영진을 감독·통제하는 강력하고 독립적 기구가 필요하다. 이는 이사회의 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자로 나선 정태인 칼폴라니 사회연구소장은 사회적 경제를 강조했다. 정 소장은 “협동조합과 사회적 기업 등은 사회적 책임 규범을 바탕으로 경영하고 있다”며 “기업이 사회적 책임(CSR)을 넘어 공유가치 창출(CSV) 활동으로 보폭을 넓힌다고 해도 기업만으로 채울 수 없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시장과 공공, 사회적 경제가 조화를 이루는 다원적 모델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인성’ 토론회가 25일 국회입법조사처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사진/국회입법조사처

 

이순민 기자 soonza00@etomato.com

원글은 뉴스토마토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